성공부업의 부업이야기

반응형
반응형

오늘날 혁신은 많은 기업들의 가장 중요한 과제다. 개인의 창조성과 혁신의 관계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개인의 창조성이 높아졌다고 해서 당장 혁신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어찌 되었든 개인 창조성이 혁신의 중요한 필요조건 중 하나라는 사실은 논할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외부의 자극으로 개인의 창조성을 높일 수 있을까? 이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서 1940~1950년대에 독일의 심리학자 카를 둔커가 제시한 촛불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우선, 촛불 문제란 테이블 위에 촛농이 떨어지지 않도록 초를 벽에 붙이는 방법을 생각해 내는 것이다 .이 문제에 도전한 성인의 대부분은 약 7~9분 만에 아이디어를 생각했다.

촛불 문제는 압정이 들어 있는 상자를 압정 상자에서 촛불 받침으로 용도를 바꾼다는 착상을 이끌어 내야 풀 수 있다. 이렇게 발상을 전환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한번 용도를 규정해 놓으면 사람들은 좀처럼 그 인식에서 자유로워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을 카를 둔커는 기능 인식의 고착이라고 명명했다. 생각해보면 펠트펜은 유리로 된 병에 들어 있는 펠트에 유색 휘발유가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물성이 알코올램프와 거의 같다. 그래서 실제로는 어둠 속에서 훌륭한 램프로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 사람들에게는 그런 발상의 전환이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다.

 

둔커의 실험 이후 17년이 지나 프린스턴 대학교의 샘 글럭스버그 교수는 이 촛불 문제를 인간의 약간 다른 측면을 밝혀내기 위한 실험에 이용하여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다. 그가 피실험자들에게 이 문제를 내면서 답을 빨리 찾아낸 사람에게 긍 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더니 아이디어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1962년에 실시된 실험에서 평균 3~4분 정도 시간이 더 걸렸다. 다시 말해, 대가를 지급하기로 약속한 결과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향상되기는 커녕 오히려 저하되었다. 교육 심리학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실험으로 대가, 특히 예고된 대가가 인간의 창조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현저히 훼손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가운데 유명한 실험을 하나 예로 들자면 에드워드 데시 교수와 리처드 쾨스트너 교수, 리처드 라이언 교수의 연구를 꼽을 수 있다. 그들은 대가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128건의 연구에 메타 분석meta analysis(단일 주제를 조사한 많은 연구물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종합해 고찰하는 연구 기법)이다. 이 실험의 결과로 그들은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든 대가를 예고하면 이미 재미를 느껴 몰입해 있는 활동에 대한 자발적 동기가 저하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에드워드 데시 교수의 연구에서는 대가를 약속하면 피험자의 성과가 저하되고, 예상 가능한 정신 측면에서의 손실을 최소한도로 억제하거나 또는 성과급이 기대 되는 행동만을 하도록 만든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즉 대가를 약속받으면 높은 성과물을 내려고 최대한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적은 노력으로 가장 많은 대가를 얻기 위해서 무엇이든 하게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스스로 과제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자신의 능력과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전적인 과제가 아니라 가장 많은 대가를 받을 수 있는 과제를 선택하게 된다.

 

이들 실험 결과는 통상 비즈니스 세계에서 상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성과급 정책이 큰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조직의 창조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성과를 유도하기 위해 제공하는 당근이 조직의 창조성을 높이는데 의미가 없을 뿐더라 되레 해악을 끼친다는 것이다. 대가와 학습의 관게를 둘러싼 논의도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가령 로버트 아이젠버거 교수와 J. 캐머런 처럼 대가가 자발적으로 동기를 저하시킨다는 경고는 대부분 틀렸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적어도 예고된 대가가 자발적으로 동기를 저하시킨다고 분석한 데시의 논고에 대해서는 1970년대부터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거의 결말이 나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경영학 세계에서는 아직도 대가가 개인의 창조성을 자극해 높인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이 많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나 런던 비즈니스 스쿨에서 교편을 잡았던 게리 해멀 교수는 혁신에 관한 논문과 저서에서 자주 엄청나게 큰 보상이 가져다주는 효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창업가는 눈앞의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창업가의 목표는 기업 주식의 증대다. 혁신적인 비즈니스 개념과 창업가의 에너지야말로 혁명의 시대에 의지가 되는 자본이다. 아이디어 자본가가 주주와 동등한 보수를 기대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들은 확실히 단기간에 큰 성공을 노리지만 동시에 자신의 공헌도에 합당한 대가를 요구하는 것이다...

 

비즈니스에서 과거의 연장선상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참신한 혁신을 성공시킨 직원에게는 후하게 보상해주어야 한다. 참신한 혁신을 실행하면 회사가 반드시 충분히 보상한다는 것을 직원들에게 명확히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 영역에서는 기초적인 상식이, 이상적인 사회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영 과학의 영역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에는 아쉬움을 넘어 곤혹스러움을 느끼지 않을수 없다. 게리 해멀 교수가 교편을 잡고 있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과 관련된 런던 비즈니스 스쿨은 고액의 학비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비싼 학비를 내가며 다른 분야에서는 이미 훨씬 전에 오류라는 사실이 밝혀져 있는 잘못된 지식을 배우고 있으니 학생으로서는 참으로 당혹스러운 일이다.

 

다른 사람에게 창조성을 발휘하고자 할 때 성과에 대한 대가, 특히 예고된 대가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사람이나 조직의 창조성을 파괴하고만다. 그럴 때 대가, 즉 당근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 그렇다면 대비 개념인 채찍은 어떨까? 결론부터 말하면 이 또한 심리학적 견해에서는 아무래도 부정적으로 보인다. 원래 뇌에는 확실한 것과 불확실한 것의 균형을 맞춰 주는 일종의 어카운팅 시스템이 있다. 무언가에 도전한다는 것은 불확실한 행위이므로 이에 대한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확실한 무언가가 필요하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이 안전기지secure base다.

 

유아의 발달 과정에서 유아가 미지의 영역을 탐구하는데는 심리적인 안전기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사람이 바로 영국의 심리학자 존 볼비다. 그는 유앙가 보호자에게 보이는 친근감과 애정, 그리고 보호자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감정을 애착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애착 관계를 맺은 보호자가 아이의 심리적인 안전기지가 되고 이 안전기지가 있기에 아이는 미지의 세계를 마음껏 탐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논리를 적용하여 생각해보면 한번 큰 실패를 해서 낙인이 찍히면 더 이상 회사에서 출세할 수 없다는 사고가 지배적인 한국, 일본보다 이직과 창업이 활발하고 혹시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하면 된다는 사고가 지배적인 미국이 안전기지가 더 강고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아이와 마찬가지로 어른도 미지의 세계로 마음껏 도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람이 창조성을 발휘하여 리스크를 무릅쓰고 나아가는 데는 당근도 채찍도 효과가 없다. 다만 자유로운 도전이 허용되는 풍토가 필요하다. 그러한 풍토 속에서 사람이 주저없이 리스크를 무릅쓰는 것은 당근을 원해서도 채찍이 두려워서도 아니다. 그저 단순히 자신이 그렇게 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